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개인과 집단의 행동양태를 분석하고 사회적 정의를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인문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이 책은 개인적으로는 도덕적인 사람들도 사회내의 어느 집단에 속하면 집단적 이기주의자로 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면서 타인의 이익을 배려할 수 있지만, 사회는 종종 민족적-계급적-인종적 충동이나 집단적 이기심을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미국경제가 공황에 빠지고 유럽에서는 히틀러가 정권을 잡으려는 시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자유주의적 사회과학자나 종교가들은 미국사회의 미래를 낙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니버는 이들이 사회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벌어지는 자선의 문제와 경제적 집단사이의 역학관계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집단 간의 관계는 힘의 역학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정치적 관계이며 따라서 사회집단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의 강제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개인의 도덕과 사회-정치적 정의가 양립하는 방향에서 그 해결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니버는 많은 정치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클린턴 대통령은 자신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준 5권의 책 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또한 아더 슐레진저 2세, 조지 케넌, 맥조지 번디 등 50-60년대 미국정책을 이끌었던 브레인들은 니버를‘우리 모두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사망한 NYT기자 제임스 레스턴도 '미국사회가 가진 아이러니를 분명히 보여주었다'고 니버에게 존경심을 표한 바 있다.
- 저자
- 라인홀드 니버
- 출판
- 문예출판사
- 출판일
- 2017.07.01
1. 인간과 사회 : 함께 살아가는 법
2. 사회 생활을 위한 개인의 합리적 원천
3. 사회생활을 위한 개인의 종교적 원천들
4. 여러 민족의 도덕성
5. 특권 계급의 윤리적 태도
6.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윤리적 태도
7. 혁명을 통한 정의
8. 정치적 힘에 의한 정의
9. 정치에서 도덕적 가치의 보전
10.개인의 도덕과 사회의 도덕 사이의 갈등
집단의 도덕이 이처럼 개인의 도덕에 비해 열등한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자연적 충동들...
사회는 이 자연적 충동들에 의해 응집력을 갖는다.(이하생략)
왜냐하면 개인들의 이기적 충동은 개별적으로 나타날 때보다는 하나의 공통된 충동으로 결합되어 나타날 때 더욱 생생하게 그리고 더욱 누적되어 표출되기 때문이다. (p.8)
물론 보수의 불평등이 인간 본성 결함에 대한 어쩔 수 없는 양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불평등이 반드시 특권의 불평등의 기초가 되는 낡은 권력의 불평등으로 이어질 필요는 없다. (p.212)
이와 같이 산업 사회에서는 노동자들이 경제적인 힘만으로 대항한다는 것은 바위에 계란 치기와 같다.
이런 약점을 보완하려면 노동계급은 필연적으로 정치 권력도 소유해야 한다.(p.216)
'책 속의 한 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의 노래_김훈 (1) | 2024.07.11 |
---|---|
여행의 기술_알랭 드 보통 (0) | 2024.07.09 |
빵굽는 타자기_폴 오스터 (0) | 2024.07.09 |
채식주의자_한강 (0) | 2024.07.08 |
넛지_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 (1) | 2024.07.07 |